결론부터 말하면, 어디선가 Null포인터에 접근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.
NULL Check를 코드 전체에서 제대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자.
크래시 발생 시 출력되는 로그를 살펴보면 대략적인 에러 지점을 알 수 있는데,
정확한 에러지점이 아닌 경우가 있어 해당 포인트 이전 실행과정들을 거슬러 올라가며 살펴봐야 한다.
'game engines > Unreal Engin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E5] FRunnable, FRunnableThread 사용 시 참고 (0) | 2023.08.22 |
---|---|
[UE5] Standalone Playmode에서 빌드가 업데이트가 안되는 경우 (0) | 2023.08.22 |
[UE5] 윈도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며 발생하는 문제들 (0) | 2023.08.19 |
[UE5] Could not be compiled, Try rebuilding ... (0) | 2023.08.17 |
[UE5] MSB3073 에러 (0) | 2023.08.17 |